본문바로가기 메인메뉴바로가기

공학인증

공학교육인증제

공학교육인증제는 공과대학의 교육단위(학과, 전공 등)에서 제공한 교육과정에 대한 품질 평가를 통하여 인증을 부여하는 제도이다. 현재, 한국의 공학교육인증은 (사)한국공학교육인증원(ABEEK, 이하 공인원이라 함)이 주관하고 있으며, 인증 받은 교육 단위(프로그램)는 국제적 교육 품질 인증 기준을 충족시키고 있으며, 프로그램 이수 졸업생은 전문능력과 자질을 구비하여 국내·외 수요자(산업체)가 필요로 하는 공학실무를 적절히 수행할 준비가 되어 있음을 보증한다. 공학교육인증제는 ‘학습성과 기반 순환형 자율개선구조 공학교육’을 지향한다. ‘학습성과 기반’은 ‘제공된 교육과정의 결과로 학생이 학습된 정도’를 교육 품질 평가의 제1기준으로 한다는 것이다. ‘순환형 자율개선구조’ 란 프로그램의 교육목표 수립에서부터 교과과정 편성 및 운영에 이르기까지 수요자(산업체, 학생, 지역사회 등)의 의견을 반영하고, 학생(또는 졸업생)의 학습성과 성취도 평가 결과에 근거하여 지속적으로 교과과정 및 교수-학습법을 개선해나가는 교육 시스템(방법)을 의미한다.

공학교육의 순환형 자율개선 구조

참여프로그램(학과)

우리대학은 2013년 현재 공과대학과 과학기술융합대학에서 총 9개의 공학교육인증 심화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해당 학과(전공)은 아래 표와 같다.

캡션캡션캡션
공과대학 전기공학부 전기공학전공, 건축토목환경공학부 환경공학트랙/건축공학트랙, 기계공학부 기계공학트랙/자동차공학트랙, 화학공학부 화학공학트랙
과학기술
융합대학
전자디스플레이공학부 디스플레이공학트랙/전자공학트랙, 컴퓨터정보공학부 정보보호학트랙

공학교육인증제의 운영

학칙 제 35조에 의거, 각 프로그램(학과)은 특성에 따라 공학교육인증제를 적용하는 ‘심화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심화프로그램 소속(진입) 학생은 공학교육인증 교육과정을 이수하여 졸업하여야 한다. 공학인증 심화프로그램은 대학의 학칙 및 시행규칙, 공인원 공학교육인증기준에 근거한 ‘공학교육인증제 운영규정’ 과 ‘프로그램 별 내규’ 에 따라 운영된다.

인정취득

심화프로그램이 교육인증기관(한국공학교육인증원)의 평가를 통해 인증을 받는다면, 인증 유효 기간 내 소속 졸업생은 인증 졸업생이 된다. 프로그램의 인증을 위해서는 소속 학생은 1) 이수체계에 따라 교과과정을 이수하고, 2) 프로그램이 정한 학습성과평가에 참여하여야 한다.

프로그램 학습성과

‘프로그램 학습성과’ 란 인증프로그램 재학생이 졸업하는 시점까지 갖추어야 할 지식, 기술 그리고 태도를 의미하며, 프로그램의 교과과정운영, 학생지도 및 평가, 교육환경, 교육개선 활동의 기준이 된다. 한국공학교육인증원에서 정한 학습성과(KEC2015와 KCC2015)는 다음과 같다.

<학습성과 : KEC2015(공학교육인증기준)>

  • 1)수학, 기초과학, 공학의 지식과 정보기술을 공학문제 해결에 응용할 수 있는 능력
  • 2)데이터를 분석하고 주어진 사실이나 가설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는 능력
  • 3)공학문제를 정의하고 공식화할 수 있는 능력
  • 4)공학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신 정보, 연구 결과, 적절한 도구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
  • 5)현실적 제한조건을 고려하여 시스템, 요소, 공정 등을 설계할 수 있는 능력
  • 6)공학문제를 해결하는 프로젝트 팀의 구성원으로서 팀 성과에 기여할 수 있는 능력
  • 7)다양한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 능력
  • 8)공학적 해결방안이 보건, 안전, 경제, 환경, 지속가능성 등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
  • 9)공학인으로서의 직업윤리와 사회적 책임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
  • 10)기술환경 변화에 따른 자기계발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지속적이고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능력

<학습성과 : KCC2015(컴퓨터•정보(공)학 인증기준)>

  • 1)수학, 기초과학, 인문 소양 및 컴퓨터•정보(공)학 지식을 컴퓨팅 분야의 문제 해결에 응용할 수 있는 능력
  • 2)이론이나 알고리즘을 수식 또는 프로그래밍 등을 통해 검증할 수 있는 능력
  • 3)컴퓨팅 분야의 문제를 정의하고 모델링할 수 있는 능력
  • 4)컴퓨팅 분야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신 정보, 연구 결과, 프로그래밍 언어를 포함한 적절한 도구 등을 활용할 수 있는 능력
  • 5)사용자 요구사항과 현실적 제한조건을 고려하여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설계할 수 있는 능력
  • 6)컴퓨팅 분야의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팀 구성원으로서 팀 성과에 기여할 수 있는 능력
  • 7)다양한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 능력
  • 8)컴퓨팅 분야의 해결방안이 안전, 경제, 사회, 환경 등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
  • 9)컴퓨터정보(공)학인으로서의 직업윤리와 사회적 책임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
  • 10)기술환경 변화에 따른 자기계발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지속적이고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능력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