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학교육인증제는 공과대학의 교육단위(학과, 전공 등)에서 제공한 교육과정에 대한 품질 평가를 통하여 인증을 부여하는 제도이다. 현재, 한국의 공학교육인증은 (사)한국공학교육인증원(ABEEK, 이하 공인원이라 함)이 주관하고 있으며, 인증 받은 교육단위(프로그램)는 국제적 교육품질인증기준을 충족시키고 있으며, 프로그램 이수 졸업생은 국내·외 수요자(산업체)가 필요로 하는 공학실무를 적절히 수행할 전문능력과 자질을 구비하고 있음을 보증한다. 공학교육인증제는 ‘학습성과 기반 순환형 자율개선구조 공학교육’을 지향한다. ‘학습성과 기반’은 제공된 교육과정의 결과로 학생이 ‘학습된 정도’를 교육 품질 평가의 제 1기준으로 한다는 것이다. ‘순환형 자율개선구조’란 프로그램의 교육목표 수립에서부터 교과과정 편성 및 운영에 이르기까지 수요자(산업체, 학생, 지역사회 등)의 의견과 학생(또는 졸업생)의 학습성과 성취도 평가 결과에 근거하여 지속적으로 교육과정을 개선해나가는 교육 시스템(방법)을 의미한다.
우리대학은 2025년 현재 공과대학에서 총 5개의 공학교육인증 심화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해당 교육과정은 전기공학과, 건축토목공학부 건축공학트랙, 화학공학과, 기계자동차공학부 기계공학트랙과 자동차공학트랙, 기계공학과, 미래자동차공학과이다.
학칙 제35조에 의거, 공학교육인증제를 적용하는 교육과정단위(학과/트랙)는 대학의 학칙과 동시에 인증기관의 공학교육인증기준에 근거하여 운영되는 ‘심화프로그램’과 공학교육인증제도가 적용되지 않는 ‘일반프로그램’ 의 2개 프로그램을 함께 운영한다. 공학교육인증제를 적용하는 교육과정단위(학과/트랙)에 신입학 또는 선택 진입한 학생 전원은 심화프로그램을 이수하여야 한다. 단 편입과 전과, 재입학 등을 통한 전입학생, 복수·연계전공 이수학생, 학석사연계과정, 공동학위취득제도 이수 학생 등 학칙과 공학교육인증제 운영 규정을 통해 이수 예외가 적용되는 학생은 일반프로그램 졸업이 가능하다.
인증기관(한국공학교육인증원)으로부터 심화프로그램이 인증을 받는다면, 인증 유효 기간 내 소속 졸업생은 인증 졸업생이 된다. 프로그램의 인증을 위해서는 소속 학생은 ① 이수체계에 따라 교과과정을 이수하고, ② 프로그램이 정한 졸업예정자 학습성과 평가를 완료하여야 한다.
인증프로그램 학습성과란 프로그램을 이수한 학생이 졸업하는 시점에서 갖추어야 할 능력과 자질을 의미하며 엔지니어 및 컴퓨터․정보기술인의 전문교양 및 전문지식과 능력 등을 의미한다. 한국공학교육인증원에서 정한 KEC2024와 KCC2024의 학습성과는 다음과 같으며, 각 프로그램에서는 이를 참고로 학습성과별 달성 수준, 달성 방법, 평가 체계를 구체화하여 적용한다.